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

머신 러닝의 정의 머신러닝의 정의 머신 러닝이라는용어는 IBM의 인공지능분야이었던 아서 사무엘이 자신의 논문에서 처음 사용했다. 여기서 머신 MACHINED이란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를 말한다. 머신러닝은 3가지 접근법으로 연구가 진행됬다. 첫번째가 신경 모형 패러다임이다. 신경 모형은 퍼셉트론에서 출발해서 지금은 딥러닝으로 이어지고 있다. 두번째는 심볼 개념의 학습 패러다임이다. 이 패러다임은 숫자나 통계이론대신 논리학이나 그래프구조를 사용하는 것으로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인공지능의 핵심적인 접근법이었다. 세번째는 현대 지식의 집약적 패러다임이다. 197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이 패러다임은 백지 상태에서 학습을 시작하는 신경모형을 지양하고 이미 학습된 지식은 재활용해야 한다는 이론이 대두되면서 시.. 더보기
IOT 시대의 인공지능 AI | 딥마인드의 알파고 카카오의 오지고 ..좀 쪽팔린당.. IOT 시대의 인공지능 우리는 온몸에 있는 감각 세포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변상황을 인자혹, 매 순간 적절한 반응 작용을 통해 우리 몸을 가장 최적으로 유지하는 항상성을 갖는다. 어떤 반응들은 우리가 의도적으로 조절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일어나며, 어떤 반응들은 우리의 결정에 따라 움직인다. 우리의 몸을 굳이 IT 환경으로 비유한다면 감각신경을 센서, 중추신경을 네트워크, 근육을 액추에이터, 그리고 뇌를 검퓨터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 자신을 포함한 우리 주변의 모든 일상적인 환경도 마치 우리의 몸처럼 변해가고 있다. 즉 옷이나 안경 신발 등에 부착되는 센서부터 시작해 가로등, CCTV, 신호등과 같이 도시 시설에 설치되는 전자 장비, 그리고 사무실, 공항, 쇼핑몰, 공장에 설치돼 있는 센서들이 우리 몸의.. 더보기
인공지능 AI 의 첫 번째 겨울 인공지능 AI 의 첫 번째 겨울 퍼셉트론을 발명한 로센 블래트와 고등학교 동창인 민스키 박사도 당시 생물학적 신경망에 영감을 얻어 퍼셉트론과 유사한 연구를 하고 있었다. 두 과학자는 매번 컨퍼런스에서 만날 때마다 퍼셉트론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서로 논쟁을 벌였는데, 로센블래트는 대부분의 문제에 대해 자신의 퍼셉트론 이론이 적용될 수 있음을 주장했고 민스키는 매우 한정적인 경우에만 퍼센트론 이론이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969년 마빈 민스키와 그의 동표 세이무어 퍼페트는 저서를 통해 로센블래트의 퍼셉트론 이론의 한계점을 수학적으로 증명한다. 즐, 로센블래트의 퍼셉트론은 'AND' 또는 'OR' 같은 선형 분리가 가능한 문제에서는 적용할 수 있지만 'XOR'문제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 더보기
인공지능 강대국들은 어떻게 발전해왔나? 인공지능 용어의 등장은 언제? 인공지능 강대국들은 어떻게 발전해 왔나. 1980년대부터 일본은 '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라고 하는 국가과제를 통해 차세대 컴퓨터 시스템과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최근에는 중국이 이 분야에 뒤늦게 뛰어들었다. 중국은 거대한 내수시장과 자본력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핵심인력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으며, 매우 공격적인 투자로 선두 주자들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현재 중극은 미국을 상대할 가장 위협적인 나라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마이크로 소프트는 중국의 고급인력과 내수시장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연구소를 중국 베이징에 설치하고 운영 중이다. 제 2차 세계 대전 동안 개발된 에니악을 포함해서 1946년 부터 1959년사이에 개발된 컴퓨터를 1세대 컴퓨터라고 부른다. 1세대 컴퓨터는 중앙.. 더보기
인공지능이란? 인공지능이란? 인공지능은 여러 학문이 연계된 정형적인 융합학문이다. 컴퓨터과학, 수학, 통계학을 중심으로 철학, 심리학, 의학, 언어학 등 실존하는 모든 학문이 광범위하게 연결되어 있다.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학문 중 하나인 철악은 2000년 이상 사람은 어떻게 인지하고, 배우고, 기억하고, 추론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왔다. 철학에서는 기원전 400년경 이미 인공지능의 개념을 상상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마인드 mind 라는 것이다. 철악에서는 마인드를 사람 안에 어떤 언어로 인코딩된 시직을 조작하는 일종의 기계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했다. 수악은 단연코 인공지능의 기반이 되는 학문이다. 수학에서 대수, 논리학, 확률론의 3개 핵심 분야는 철학에서 제안한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증명하고, 알고리즘이라는 형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