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미래 일의 미래 썸네일형 리스트형 하루종일 졸린 당신, 간이 힘들다면? 간기능 개선 특별 혈자리 공개! 🍀 간 기능 개선에 좋은 주요 혈자리 3곳1. 태충(太衝)위치: 발등,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서 올라가다 만나는 움푹한 곳효능: 간의 해독 작용 촉진, 감정 조절, 두통 완화, 눈 피로 개선지압법: 의자에 앉아 다리 꼰 채로 엄지손가락으로 천천히 1~2분간 눌러주세요.2. 행간(行間)위치: 태충보다 약간 앞쪽,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 안쪽효능: 간열 해소, 화(火) 내려주기, 불면, 눈 충혈 개선지압법: 손끝으로 천천히 눌러주거나 발가락 사이를 좌우로 비비듯 자극합니다.3. 간수(肝兪)위치: 등쪽, 9번째 흉추(등뼈) 양옆 약 3cm 지점(어깨와 허리 중간쯤에 손바닥 1개 너비 양옆)효능: 간 기능 강화, 피로 회복, 어깨 결림 완화지압법: 등을 기대고 벽에 테니스공을 두고 등으로 살살.. 더보기 우리에게 적당한 말이 없어 / 전성임, 김봄, 김의경, 최정나 / 해냄 출판사 정말 요즘은 적당한 말이 많이 없다.적당한 삶이란게 뭘지 참 아이러니 하지만 살아가는 동안 알게 된다면 그 사람은 정말 행운아 아닌가! 최애작가인 김의경 작가의 신간이기도 해서 우리에게 적당한 말이 없어 엔솔러지 중김의경 작가 "망고스틴 호스텔" 먼저 읽어보았다. 우리의 삶과 뗄수 없는 2020-2022까지의 코로나가 여기서도 어김없이 등장한다. 망고스틴이 뭐지??아. 부페에서 많이 봤던 바로 그 허연색 과일~ 주인공 부부가 코로나 시기에 못간 신혼여행을 방콕으로 가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를 썼는데수영인인 나로써는 수영하는 장면에서 정말 많이 웃었다. 외국 호텔 수영장에서착장이 수모까지 하고 전투수영하면다 한국사람이라는 말을 들었는데,작가는 실제 그런 경험이 있었던 모양이다. 소소한 행복이 무엇인지 책.. 더보기 건강하게 웰빙하는 방법 (족삼리 혈자리) 매달 1일부터 6일까지 왼쪽과 오른쪽 다리의 삼리혈에 뜸을 뜹니다.이것이 무병장수의 비결! 족양명위경-합혈-토족삼리 - 장소로 통하는 길 족삼리란 무엇인가? 족삼리足三里는 다리에 있는 혈자리이다.'무릎에서 아래로 3촌 내려가 정강이뼈 바깥쪽면 두 근육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 \ 족삼리 위치무릎으로부터 3촌(손가락 네개)아래 위치함.만병의 근원 소화 불통을 바로잡으며 몸 안의 나쁜 기운을 2리 밖으로 걷어차 버린다고 한다. 아무리 생각해도 내몸을 관리하는 건 내가 해야하는 게 맞다. 나도 매달 1-6일에는 저 부위를 뜸이든 혈자리 누르든 해야겠다. 더보기 우주는 팽창한다.. 스티븐 호킹 우주는 팽창한다.. 스티븐 호킹 별의 겉보기 광도는 두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한 요소는 절대광고디고, 다른 하나는 별이 우리로부터 떨어진 거리이다. 근처의 별들에 대해 겉보기 광도와 거리를 둘 다 측정할 수 있으므로, 그 별들의 절대 광도를 계산할 수 있다. 거꾸로 만일 우리가 다른 은하에 있는 별들의 절대광도를 안다면, 우리는 그 별들의 겉보기 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허블은 특정 유형의 별들은 절대 광도가 항상 동일하다고 논증했다. 이는 그 유형의 별들 중에서 가까이 있는 것들을 측정하여 얻은 결론이었다. 그러므로 만일 우리가 그런 별들을 다른 은하에서 발견하다면, 우리는 그것들도 절대광도가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그 은하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만일 우리.. 더보기 스티븐 호킹이 쓴 시간의 역사. 아이에게 설명해주기 위해 구매하고 읽는 중인데 와웅.. 너무나 어렵다. 청소년용 도서가 이정도인데, 원문은 과연 얼마나 더 복잡스러울까;;; 초반 몇구절만 써본다. 결국 스티브호킹은 그래서 이런 사실들을 근간으로 블랙홀에 대해 규명했다는 것인데..흐.. 난 처음부터도 이해가 넘나 안됨. (난이 100000%) - 기원전 340년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천구들에 관하여"라는 책에서 지구가 판이 아닌 둥근 공모양이라는 논증 2가지를 제시했다. 1. 월식이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놓일 때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한다. 달에 드리운 지구의 그림자는 하앙 둥근데, 그러려면 지구가 공 모양이어야만 한다. 만약 지구가 편평한 판이라면 태야잉 원반의 중심에서 타원이 되어야 한다고 함. 2. 그리스인들은 여행의 경험을 통해 .. 더보기 회사 복지 | 간식 비중이 점점 커진다고? 언제다 채워넣지 고민이라면~~ 회사 선택의 기준은 다 다르겠지만,요즘처럼 고용이 불안정한 시대에는 대기업도 힘들고 중소기업은 더 힘들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토스의 퍼블리카나배민의 용감한 형제등의 스타트업 기업들은 사내 복지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간식에 대해서는 무한 제공이라고.. 실제로 회사에 간식이 있으면 일할때 조금 쉴수 있기도 하지만뱃살때매 정말 고민은 고민이다. 게다가, 그걸 채워넣는 순서라면 곱절은 더 신경쓰일터... 그런 고민을 해결해주는 회사도 생겨나다니, 그쪽 시장도 조금씩 성장하는 추세인듯. 회사 스낵 채워넣기 담당자라면 한번 도움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기업 필수 복지 사무실 간식 토탈 케어 '스낵24', 지금 신청하세요>>>> 상담 신청하기 더보기 목성과 갈릴레오 위성 갈릴레오가 발견한 행성들 1609년은 갈릴레오가 가르치던 메디치가의 코시모 왕자가 토스카나의 대공 코시모 2세가 되었다.그해 11월에 갈릴레오는 처음으로 자신이 만든 망원경을 통해 달을 보았다.(그 시기에는 유독 지구와 달이 가까운 때여서 유관으로도 보였다고 하는데, 상상은 안간다..)달에는 산도 있고, 크레이터도 있었다.그 당시까지만 해도 모든 사람들이 달 표면은 부드럽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1610년 갈릴레오는 목성을 관찰하다가 목성의 위성 네 개를 발견했다.오늘날 갈릴레오 위성으로 불리는 이 위성들은 당시에는 코시모를 기리기 위해 '메디치의 별들'로 명명되었다.갈릴레오는 은하수도 관찰하였다. 은하수가 셀수 없이 많은 별들이 모여 있는 것이라는 걸 처음 안 셈이다.갈리레오는 토성 둘레에 불룩하게 생.. 더보기 2019년 트렌드섹터를 위한 라이프트렌드 도서 3 ( by 내기준) 2019년 트렌드섹터를 위한 라이프 트렌드도서 3 ( by 내기준) 1. 트렌드 코리아 2019 (by 김난도) 2010년부터 쭉 발매되어온 트렌드 분석(예상?) 대표도서.저자 김난도님은 서울대 생활과학대학 교수님이고 소비트렌드분석센터를 운영중이심. 올해는 리빙코럴 (팬톤코드 16-1546 / HEX코드 #FF6F61/ RGB 255.111.97 / CMYK 0.65.54.0 )이 대표색책 표지는 피치핑크 (돼지 분홍빛 살빛과 유사하여) 2019년 PIGGY DREAM 2019년은 돼지꿈 Play the Concept (콘셉트를 연출하라) Invite to the ‘Cell Market’ (세포마켓) Going New-tro (요즘 옛날, 뉴트로) Green Survival (필(必)환경 시대) You .. 더보기 타이탄의 도구들 p194-212 타이탄의 도구들 07 텅 빈 공간에 홀로 서라 p.194 나는 창조적 공간을 창출하기 위해 모든 삶을 빈 공간으로 만들려고 노력한다.p.195 작은 것에 집중하면 모든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강력한 것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챔피언은 창조적인 전략이 결정하는데, 그것은 아무것도 가진게 없을 때 스치듯 떠오른다. 성공하는 사람들이 스토리를 보라. 맨손으로 시작한 사람이 가장 큰 성공을 거둔다. 복잡한 생각, 고민, 전략과 전술.. 모두 지워라. p.198 마지막 자세가 좋아야 다음번에도 좋은 자세로 출발할 수 있게 돼... 항상 좋은 자세에서 마무리를 한다. 작가 헤밍웨이는 가장 좋은 흐름의 중간. 가장 잘 써져 나간다고 느껴지는 문단의 중간 부분에서 하루의 작업을 끝낸다. 다음번에도 그 좋은 흐름을 .. 더보기 우주학 에너지 | 목성 목성 Jupiter 태양계 내에 있는 행성 중 가장 큰 행성으로 행성 순서 중 5번째에 위치하고 있음.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행성 지구 크기의 1,300배나 되고, 질량은 318배나 큰 행성이나 가스형 행성으로 부피에 비해 질량은 작은 편.겉보기 등급은 금성 다음으로 밝다.목성은 갈릴레이 위성등을 포함해서 총 79개의 위성들을 가지고 있다고 함. 평균 온도 : -108도 목성의 위성인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등 4개를 갈릴레이 위성이라 한다.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이 위성들을 관측하고, 이를 계기로 천동설을 부정했다고 한다.이들 4개 위성은 망원경우로 쉽게 관찰이 가능하고, 칼리스토의 경우는 맨눈으로도 관찰이 가능하다.1999년도까지는 16개의 위성이 발견되었고, 이우 지속적으로 발견되면서 현.. 더보기 타이탄의 도구들이 권하는 6가지 검증된 습관도구 타이탄의 도구들이 권하는 6가지 검증된 습관도구 저자 팀 페리스가 200여명의 성공한 사람들, 타이탄들을 만나면서 공통적인 습관을 추려냈다. 6가지로 다음과 같다. [ 타이탄의 6가지 공통된 습관 ] 1. 매일 가벼운 명상을 한다.2. 집중력이 요하는 업무시에 플레이하는 잔잔한 음악을 지정해놓았다.3. 내가 못하는 것 하기 싫은 것은 주변 사람들을 활용하여 시행한다. (약점보완)4. 스스로의 힘으로 프로젝트 완료해본 경험이 있다.5. 실패는 할 수 있지만 오래가지 않음을 안다.6. 공통 필독서 4가지 - 유발 하라리 : 사피엔스 - 로버트 치알디니 : 설득의 심리학 - 빅터 플랭클 : 죽음의 수용소에서 - 헤르만 헷세 : 식다르타 좋은 정신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중요한 것은 그것을 좋게.. 더보기 실리콘밸리를 그리다. 실리콘벨리를 그리다. Role driven | Rank driven 페이스북에서 알려준 하나의 영상 실리콘밸리와 한국기업 다름의 차이란 바로 이것일까? 책읽고 싶네..이거.ㅋㅋ 더보기 성공하는 습관 | 너의 팬을 1000명만 만들어라. 성공하는 습관 - 너의 팬을 1000명만 만들어라. 골수팬이라고 흔히 말하는 팬층이 1000명만 있으면당신의 비지니스는 대박은 아니더라도 중박은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2가지를 충족하라고 스티브 코비는 말한다. 1. 년간 팬 1명당 평균 100달러 (약 12만원) 수익을 낼 수 있을만큼 충분한 작품을 만들어라.새로운 팬을 찾기 보다 기존팬에게 더 많이 파는 편이 낫다.그들이 또한 새로운 입소문러로 탈바꿈될 수 있으니까 2. 팬들과 직접적인 관계가 되어라. 그들이 당신에게 직접 돈을 지불해야 한다. 1000명의 고객은 100만 명의 팬보다 실현가능성이 높다. 날마다 1명씩 골수팬이 늘어난다면 당신의 당신 비지니스를 이길수 있다. 1000명이란 숫자는 절대적이지 않다.실제 숫자는 각자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더보기 스토리의 비약을 줄이는 기술 so what? why so? 스토리의 비약을 줄이는 기술 - so what? why so? so what? - 결국 무엇인가. 어떤것인가?why so? - 왜 그런것인가? 말할때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다.농담도 재미있게 말하는 친구들을 보면 하나같이 논지를 흐트리지 않는 점을 발견한다.하나의 정보에 대해 무엇을 주려는지, 어떤 점을 부곽시키려는지 그것을 흐려지지 않게 말하는 것이 참된 말하기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말하기로 논리적인 말하기란 무엇일까?? 1) SO What?갖고 있는 데이터 전체나 그룹핑된 데이터 중에서 목표(말하려는 주제)에 비춰보아 대답할 수 있는 핵심요점을 추출하는 과정을 말한다. 2) Why SO?1)의 추출한 것을 바탕으로 증명하는 검증 작업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면,-20개 제품 중 1개만.. 더보기 머신 러닝의 정의 머신러닝의 정의 머신 러닝이라는용어는 IBM의 인공지능분야이었던 아서 사무엘이 자신의 논문에서 처음 사용했다. 여기서 머신 MACHINED이란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를 말한다. 머신러닝은 3가지 접근법으로 연구가 진행됬다. 첫번째가 신경 모형 패러다임이다. 신경 모형은 퍼셉트론에서 출발해서 지금은 딥러닝으로 이어지고 있다. 두번째는 심볼 개념의 학습 패러다임이다. 이 패러다임은 숫자나 통계이론대신 논리학이나 그래프구조를 사용하는 것으로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인공지능의 핵심적인 접근법이었다. 세번째는 현대 지식의 집약적 패러다임이다. 197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이 패러다임은 백지 상태에서 학습을 시작하는 신경모형을 지양하고 이미 학습된 지식은 재활용해야 한다는 이론이 대두되면서 시.. 더보기 2019년 세계 트랜드 노블푸드 2019년 세계 트랜드 노블푸드신개념 푸드 기술이 발달하고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변하면서 우리 몸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음식도 진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맛 좋고 양 많은 음식이 최고였다면, 이제는 음식에도 새로운 기능이 부여되고 강조되고 있다. 고혈압과 당뇨의 치료 약에서 시작한 하이레지 식품, 맛과 영양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미식인 퓨레형 환자식, 새로운 가공법과 성분으로 제조해 얼리어답터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신소재 식품 등. 종류가 너무나 다양해서 명명하기 조차 어려워지면서 유럽에서는 새로운 음식을 의미하는 '노블푸드'라는 단어가 이러한 신개념 음식을 지칭하는 고유 명사가 되었다. 신개념 미래 먹거리, 노블푸드 "게준트하이트(건강)!!"독일에는 상대방이 재채기를 하면 건강하라고 말해주는.. 더보기 IOT 시대의 인공지능 AI | 딥마인드의 알파고 카카오의 오지고 ..좀 쪽팔린당.. IOT 시대의 인공지능 우리는 온몸에 있는 감각 세포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변상황을 인자혹, 매 순간 적절한 반응 작용을 통해 우리 몸을 가장 최적으로 유지하는 항상성을 갖는다. 어떤 반응들은 우리가 의도적으로 조절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일어나며, 어떤 반응들은 우리의 결정에 따라 움직인다. 우리의 몸을 굳이 IT 환경으로 비유한다면 감각신경을 센서, 중추신경을 네트워크, 근육을 액추에이터, 그리고 뇌를 검퓨터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 자신을 포함한 우리 주변의 모든 일상적인 환경도 마치 우리의 몸처럼 변해가고 있다. 즉 옷이나 안경 신발 등에 부착되는 센서부터 시작해 가로등, CCTV, 신호등과 같이 도시 시설에 설치되는 전자 장비, 그리고 사무실, 공항, 쇼핑몰, 공장에 설치돼 있는 센서들이 우리 몸의.. 더보기 인공지능 AI 의 첫 번째 겨울 인공지능 AI 의 첫 번째 겨울 퍼셉트론을 발명한 로센 블래트와 고등학교 동창인 민스키 박사도 당시 생물학적 신경망에 영감을 얻어 퍼셉트론과 유사한 연구를 하고 있었다. 두 과학자는 매번 컨퍼런스에서 만날 때마다 퍼셉트론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서로 논쟁을 벌였는데, 로센블래트는 대부분의 문제에 대해 자신의 퍼셉트론 이론이 적용될 수 있음을 주장했고 민스키는 매우 한정적인 경우에만 퍼센트론 이론이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969년 마빈 민스키와 그의 동표 세이무어 퍼페트는 저서를 통해 로센블래트의 퍼셉트론 이론의 한계점을 수학적으로 증명한다. 즐, 로센블래트의 퍼셉트론은 'AND' 또는 'OR' 같은 선형 분리가 가능한 문제에서는 적용할 수 있지만 'XOR'문제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 더보기 습관2. 끝을 생각하며 시작하라 - 개인 리더쉽의 원리 -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습관 2. 끝을 생각하며 시작하라. /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우리 주위에 있는 물질들은 우리 안의 역량과 비교해 볼때 너무나 사소한 것들이다. 이제부터 조용히 혼자 읽을 수 있는 곳으로 가라. 모든 일로부터 마음을 내려놓고 내가 지시하는 것에만 정신을 집중하라. 자신의 스케쥴, 가족, 사업, 친구들에 관한 생각은 하지 말고 내 애기에만 집중하고 마음을 열어보라. 이제 사랑하는 사람의 장례식에 참여하기 위해 가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마음속으로 상상하라. 장례식이 거행되는 교회로 차를 몰고 가서 주차하는 장면을 그려 보라. 당신은 그 장례식장 안으로 들어가면서 줄지어선 화환을 보고 음악소리를 듣게된다. 당신은 걸어가면서 친구들과 친구들의 가족들을 마주치게 된다. 고인을 상실한 슬픔과 생전에 알고 지.. 더보기 인공지능 강대국들은 어떻게 발전해왔나? 인공지능 용어의 등장은 언제? 인공지능 강대국들은 어떻게 발전해 왔나. 1980년대부터 일본은 '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라고 하는 국가과제를 통해 차세대 컴퓨터 시스템과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최근에는 중국이 이 분야에 뒤늦게 뛰어들었다. 중국은 거대한 내수시장과 자본력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핵심인력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으며, 매우 공격적인 투자로 선두 주자들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현재 중극은 미국을 상대할 가장 위협적인 나라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마이크로 소프트는 중국의 고급인력과 내수시장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연구소를 중국 베이징에 설치하고 운영 중이다. 제 2차 세계 대전 동안 개발된 에니악을 포함해서 1946년 부터 1959년사이에 개발된 컴퓨터를 1세대 컴퓨터라고 부른다. 1세대 컴퓨터는 중앙..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