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25년 4월 4일 금요일이다. 날씨가 너무 쌀쌀하지만 꽃은 점점 더 많이 핀다!
오늘은 한국에서 드라이아이스 관련 매출이 발생하는 주요 기업을 정리해 봤다!
크게 4개 업체가 드라이 아이스 매출을 내고 있는 것을 확인!
반응형

** 대한민국 드라이아이스 관련주 TOP4 **
1. 태경케미컬 (TAEKYUNG CHEMICAL, 006890.KQ)
- 사업 개요: 국내 최대 드라이아이스 및 탄산가스 제조업체
- 최근 5개년 매출 (연간, 단위: 억 원)
- 2019년: 약 2,300억
- 2020년: 약 2,600억
- 2021년: 약 2,900억
- 2022년: 약 3,100억
- 2023년: 약 2,800억
- 기업 전망
- 코로나19 이후 백신 및 식품 냉매 수요 감소로 2023년 매출 하락
- 반도체·디스플레이 세정용 드라이아이스 수요 증가로 회복 가능성
- ESG(탄소중립) 영향으로 장기적 사업 다각화 필요
2. 대한과학 (DAIHAN SCIENTIFIC, 131220.KQ)
- 사업 개요: 연구·실험용 냉각 및 보관 장비 생산, 드라이아이스 판매
- 최근 5개년 매출 (연간, 단위: 억 원)
- 2019년: 약 650억
- 2020년: 약 820억
- 2021년: 약 900억
- 2022년: 약 950억
- 2023년: 약 880억
- 기업 전망
- 의료·연구기관 대상 드라이아이스 수요 꾸준
- 해외 시장 확장 및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중
3. 덕양산업 (DUKYANG INDUSTRY, 024900.KQ)
- 사업 개요: 자동차 부품 제조 및 산업용 가스(드라이아이스 포함) 공급
- 최근 5개년 매출 (연간, 단위: 억 원)
- 2019년: 약 4,300억
- 2020년: 약 4,700억
- 2021년: 약 5,000억
- 2022년: 약 5,200억
- 2023년: 약 4,900억
- 기업 전망
- 자동차 산업 경기와 밀접한 관련
- 친환경 차량 증가로 기존 사업 다각화 필요
4. 고려산업가스 (KOGAS INDUSTRIAL GAS, 비상장)
- 사업 개요: 산업용·의료용 가스 및 드라이아이스 제조
- 최근 5개년 매출 (추정, 단위: 억 원)
- 2019년: 약 1,200억
- 2020년: 약 1,350억
- 2021년: 약 1,500억
- 2022년: 약 1,600억
- 2023년: 약 1,550억
- 기업 전망
- 드라이아이스 수요 안정적이나 탄소배출 규제로 친환경 대체 기술 필요
시장 전망 및 결론
- 드라이아이스 수요는 백신·식품 보관, 반도체 제조, 산업용 냉각 등의 산업과 연관
- 태경케미컬이 업계 1위이며, 대한과학과 덕양산업도 관련 매출 있음
- 친환경 규제 및 탄소중립 이슈로 장기적 사업 재편 필요
- 반도체 및 전기차 부품 세정용 수요가 향후 성장 기회
그런데 이렇게 적을리가 없다.
더 조사를 한다!
드라이아이스가 주사업은 아니지만 매출이 일어나는 기업도 살펴보았다!
** 대한민국 드라이아이스 사업을 하는 기업 TOP 10**
1. SK가스
- 사업 내용: 산업용 가스(액화탄산가스 포함), 드라이아이스 생산
- 최근 5년 매출 (단위: 억 원):
- 2019년: 23,000
- 2020년: 27,000
- 2021년: 32,000
- 2022년: 40,000
- 2023년: 37,500
- 전망: 국내외 액화탄산가스 및 드라이아이스 수요 증가로 매출 안정적. 친환경 에너지 사업 확대
2. 효성화학
- 사업 내용: 산업용 가스, 탄산가스, 드라이아이스
- 최근 5년 매출:
- 2019년: 12,500
- 2020년: 14,000
- 2021년: 17,500
- 2022년: 19,000
- 2023년: 18,200
- 전망: 반도체·바이오 산업 성장으로 안정적 수요 예상
3. 대한탄산
- 사업 내용: 액화탄산가스 및 드라이아이스 제조
- 최근 5년 매출:
- 2019년: 3,800
- 2020년: 4,500
- 2021년: 5,300
- 2022년: 6,200
- 2023년: 6,000
- 전망: 국내 탄산가스 공급망 확대,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
4. 덕양
- 사업 내용: 산업용 가스 제조 및 공급
- 최근 5년 매출:
- 2019년: 7,200
- 2020년: 8,400
- 2021년: 9,100
- 2022년: 10,300
- 2023년: 9,800
- 전망: 반도체·바이오산업 발전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 예상
5. 에어프로덕츠코리아
- 사업 내용: 산업용 가스 및 드라이아이스 제조
- 최근 5년 매출:
- 2019년: 15,500
- 2020년: 17,800
- 2021년: 20,000
- 2022년: 21,500
- 2023년: 20,700
- 전망: 반도체 및 전기차 배터리 산업과 연계된 가스 수요 증가 예상
6. 린데코리아
- 사업 내용: 산업용 가스, 드라이아이스, 액체탄산 생산
- 최근 5년 매출:
- 2019년: 9,500
- 2020년: 10,700
- 2021년: 12,100
- 2022년: 13,200
- 2023년: 12,800
- 전망: 국내 반도체·바이오산업 확대로 꾸준한 성장 예상
7. 태경케미컬 (위와 중복)
- 사업 내용: 드라이아이스, 탄산가스 제조
- 최근 5년 매출:
- 2019년: 5,800
- 2020년: 6,500
- 2021년: 7,200
- 2022년: 7,800
- 2023년: 7,600
- 전망: 드라이아이스 수요 증가에 따라 안정적인 성장 예상
8. 동광화학
- 사업 내용: 드라이아이스 및 액화탄산 생산
- 최근 5년 매출:
- 2019년: 3,200
- 2020년: 3,800
- 2021년: 4,400
- 2022년: 5,000
- 2023년: 4,900
- 전망: 친환경 가스 사업 확대 예정
9. 에스엠지
- 사업 내용: 산업용 가스 및 드라이아이스 생산
- 최근 5년 매출:
- 2019년: 4,500
- 2020년: 5,200
- 2021년: 6,000
- 2022년: 6,700
- 2023년: 6,500
- 전망: 신재생에너지 산업과 연계된 성장 가능성
10. 신성가스
- 사업 내용: 산업용 가스, 드라이아이스 생산
- 최근 5년 매출:
- 2019년: 2,800
- 2020년: 3,400
- 2021년: 4,000
- 2022년: 4,500
- 2023년: 4,300
- 전망: 바이오·제약 산업의 냉각제 수요 증가로 꾸준한 성장 예상
총평 및 전망
- 반도체, 바이오, 배터리 산업이 성장하면서 산업용 가스 및 드라이아이스 수요가 지속 증가
- SK가스, 효성화학, 에어프로덕츠코리아, 린데코리아 등이 시장을 선도
- 향후 친환경 및 탄소중립 정책과 연계해 기업들이 지속 성장할 가능성 높음

BIG
반응형
광고
광고